・관련 포스팅 - 『평택시, 2021년 7월말 인구통계』+1,702명 증가 / 비교분석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 평택시의 『2021년 9월말 인구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평택시의 인구는 지난달보다 +2,939명 증가한 557,45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 10월 +2,512명 / 11월 +2,688명/ 12월 +2964명 / 21. 1월 +3,622명/21. 2월 +3,156명 / 21. 3월 +283명 / 21. 4월 +1,786명 / 21. 5월 +1,977명 / 21. 6월 +1,770명/ 21. 7월 +1,702명 / 21. 8월 +2,908명 / 21. 9월 +2,939명 (동 구분은 법정(동) 경계가 아니라 행정(동) 경계라는 것을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제가 지난 달에는 따로..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요새 개인적으로 정신이 없어서 블로그에 신경 쓰지 못하고 있는데요. 잠깐 주저리주저리 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별다른 자료 정리 없이 가볍게 포스팅 하나 남기고 가고자 합니다. 요새 삼성전자에서 240조 원(국내 180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밝히면서 평택 캠퍼스에 대한 관심들도 덩달아 커지는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이슈는 아무래도 평택 캠퍼스 '7~8기 증설'에 대한 이야기일 텐데요. 뭐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이죠? 분명 언젠가는 구체적으로 논의가 될 수도 있을 겁니다. 땅은 많기 때문에 자리만 잘 잡으면 이전에 부사장이 넌지시 던졌던 '제2 평택공장'이 진짜 평택시 어딘가에 들어서면서 '10기' 이상도 꿈꿀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그렇게 됐으면 좋겠다와 현재 ..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은 LH의 토지주택연구원에서 2021년 발행한 「수용, 환지 혼합형 개발사업 실행방안 연구 보고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개발사업의 시행방식별(수용・환지・혼용) 특징을 전반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보고서 전문은 https://lhi.lh.or.kr/web/index.do(토지주택연구원)에서 직접 검색・열람할 수 있습니다. 【 보고서 19페이지 ~ 】 도시개발사업의 시행방식은 '수용 또는 사용하는 방식'과 '환지 방식' 또는 이를 혼용하는 '혼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도시개발법 시행령」제43조(도시개발사업의 시행방식)에는 사업의 용이성, 규모 등을 고려하여 시행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용・사용방식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평택시민신문'에서 고덕국제신도시 내 행정타운 조성(평택시청 및 시의회 이전) 계획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사가 나왔습니다. 평택시에서 지난 7월 말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리맥)에 행정타운 건립 추진계획의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며, 본격적인 사업 개시를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는 내용입니다. 결론만 말하면 24년 말에는 착공 후 27~8년에 준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사를 직접 읽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http://www.p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401 평택시 행정타운 본격 추진…2024년 말 착공 - 평택시민신문 8월 지방투자사업 타당성조사 의뢰 사업추진 위한 필수 절차…1년 걸려..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평택~부발 단선전철 사업'이 2021년 5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본 사업은 평택역에서 안성과 용인을 거쳐 이천 부발역까지 59.4km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추후 포승~평택선 / 여주~원주선 / 경강선 등과 연계하여 평택항에서 강릉까지의 중부 동서축을 가로지르는 철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6월에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수도권 내륙선과 함께 반영되면서 철도 인프라가 전무하여 불편함을 겪고 계신 안성시민들에게 가뭄의 단비 같은 소식이었을 텐데요. 총 사업비 약 2조 300억 원이라는 엄청난 예산이 들어가는 국책사업인 만큼, 예산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사전적으로 ..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은 '역에서 반경 얼마까지를 역세권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까?'라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법적으로 역세권의 기준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된 것은 없다'*입니다.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는 철도역과 그 주변지역, 「도시철도법」에는 역을 중심으로 한 인접지역으로서 당해 지역의 교통여건을 고려하여 시・도지사로부터 역세권 개발사업계획의 승인을 얻은 지역이라고 명시되어 있음) 통상적으로 편의를 의해 정량적으로 ~m 까지를 역세권으로 규정하는 경우들은 있지만, 실제로 일상에서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를 하고 사용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역세권이라고 표현했을 때 거기서 느껴지는 이미지나 어느 정도의 공감대가..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도 평소처럼 '경기부동산포털(gris.gg.go.kr)'의 지도서비스를 활용하면서 업무를 보고 있었는데요. 뭔지 모를 낯선 느낌이 한참 동안 계속 들어서.. 눈이 좀 침침한가? 싶기도 했습니다. 이 어색함의 원인을 지제역 주변으로 지도를 옮기면서 눈치를 챘는데요. '항공사진(=위성사진)' 자체가 완전히 바뀌어 있었습니다. 색감만 봤을 때는 평소보다 더 옛날 사진이 떠 있는 인상이었는데요, 기존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던 신축 건물들이 촬영되어 있는 것을 보고 항공사진이 새로 업데이트되었네!라고 알 수 있었습니다. 차이점이 느껴지시나요? 아마 평택시의 신도심 인근으로 관심을 갖고 있거나 직접 거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모두가 한 번씩은 찾아보셨을 지제역 인근의 항공사진입니다. 기..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저는 어린 시절을 '구파발, 기자촌' 등으로 유명한 서울시 은평구의 진관동이라는 곳에서 보냈는데요. 진관사 계곡에서 미끄럼틀 타고, 밖에 나가 공 차고 노는 것 외에는 관심이 없던 나이에도 참 자주 듣던 부동산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라는 표현인데요. 지역의 개발 이슈들이 한창 나오던 때라 어른들이 참 많이 언급을 했었습니다. 잘 모르긴 몰라도 '이 주변은 그린벨트 지역이라서 자연보전이 우선이고, 개발이 어렵다'라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데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자주 들었더랬습니다. (결과적으로 제가 살던 곳은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어 '은평 뉴타운'이라는 이름으로 천지개벽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자주 접하고 있는 비슷한 부동산 용어가 하나가 ..
・관련 포스팅 - 『회의록 살펴보기 : 아주대병원 유치 확정? feat. 카이스트 지원금』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 브레인시티의 의료복합타운 사업자 공모 결과가 발표되었는데요. 많은 분들이 예측하셨던 대로 '아주대병원-투게더홀딩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더 상급병원을 원하신 일부 시민 분들도 계시겠지만, 안타깝게도(?) 이번 공모에는 아주대병원만이 단독으로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설명회를 거치면서 십여 곳의 업체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처럼 기사들이 나왔던 것 치고는 의외의 결과일 수 있는데요. 사실상 아주대병원을 위한 공모였다는 것을 부정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김수우 대표님도 '아주대병원이 기존에 mou를 체결하고 있었기 때문에 평가에서 이에 따른 가산점이 붙을 수..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지제동 85-1번지(펌프장 신설 위치) 인근과 도일천을 따라 195,275㎡ 규모로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中 '침수위험지구)'를 지정한다는 행정예고가 나왔습니다. 자연재해위험지구로 지정이 되면 재해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견축・형질변경 등의 행위가 제한될 수 있는데요. 농업진흥구역(절대농지) 일부와 국공유지의 하천부지만을 대상지로 하고 있어 재산상에 피해를 보시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내용은 지제동을 통과하는 도일천 왕복 4.965km 구간에 대한 보축과, 배수펌프장 및 유수지 신설, 유입수로의 정비입니다.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지정 등) 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