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포스팅 - 『평택시, 2020년 7월말 인구통계』+1,497명 증가 / 비교분석
・관련 포스팅 - 『평택시, 2020년 6월말 인구통계』+1,770명 증가 / 비교분석
・관련 포스팅 - 『평택시, 2020년 5월말 인구통계』+1,462명 증가 / 비교분석
・관련 포스팅 - 『평택시, 2020년 4월말 인구통계』+1,525명 증가 / 비교분석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오늘 평택시의 『2020년 8월말 인구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평택시의 인구는 지난달보다 +1,788명 증가한 527,166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지난달 +1,497명 증가에서 약간 늘어난 모양새입니다. 이에 따라 인구 대비 증감률도 (6월, +0.34% → 7월, +0.285% →) +0.34%로 다시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2월 +1,798명 / 1월 +1,849명 / 2월 +2,211명 / 3월 +2,037명 / 4월 +1,525명/ 5월 +1,462명 / 6월 +1,770명 / 7월 +1,497명 / 8월 +1,788명
한동안 고덕국제신도시(고덕면)의 신축 아파트들이 평택시의 인구유인을 이끌었었는데요.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비전 1동에게 평택 No.1 지위를 넘겨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차이가 오히려 더 벌어지고 말았네요.
(동 구분은 법정(동) 경계가 아니라 행정(동) 경계라는 것을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여태까지는 매달 새로운 통계가 나올 때마다 최대한 동별로 분석을 해드리고자 노력을 했었는데요. 계속해서 중복되는 내용을 언급해야 부분들이 많이 있어 왔기 때문에, 앞으로는 관심 있는 소식이나 새로운 증감 요인 자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별 분석은 최소한으로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읽고 싶으신 분들은 지난 포스팅들도 같이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월말 인구유입 Top 3 : 비전 1동 +1,137명 / 고덕면 +284명 / 지산동 +144명
우선 비전 1동에서 무려 1,137명의 인구 유입이 있었습니다.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렸던 동삭동의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 2BL(1,674세대)의 입주가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입주 지정기간이 8.14 ~ 10.15까지로 알고 있는데요. 입주기간 초반의 2주 정도만 반영된 8월말 통계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달 +543명에서 → 1,137명으로 600명가량이 더 늘어난 것인데요. 세대당 2.5명씩 계산을 할 경우 250~300세대 안쪽으로 입주를 하시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그렇다는 것은 아직도 1,300세대 이상의 입주가 계속될 것이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 1BL(2,124세대)의 경우 11월 입주예정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이른 10월 8일부터 입주가 시작되는 것 같더군요. 1BL・2BL 합쳐서 3,800세대가 계속해서 입주를 할 예정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평택시 인구 유입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2월에 입주 예정되어 있는 힐스테이트지제역(1,519세대) 같은 경우는 행정구역이 세교동으로 들어갈지 비전1동으로 들어갈지 지도상으로만 봤을 때는 애매하네요.)

행정경계상 비전 1동이 지나치게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비전 1동 같은 경우는 벌써 인구수가 78,192명에 달하고 있는데요. 10월말 통계에서는 무난하게 8만 명을 돌파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괜히 분동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평택시 시의회에서 관련된 발언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밑에 '더보기'를 눌러 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윤하 위원 이윤하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체크 좀 하도록 하겠습니다.
53페이지에 보면 2019년 12월 31일자 주민등록 인구현황이 있습니다.
2019년도에 비전2동이 분동됐죠?
○민원토지과장 김희자 예.
○이윤하 위원 분동이 되는 데에 있어서 일부 인구 수 조정이 조금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의회에서도 했고, 일반 시민단체에서도 일부 지적을 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알고 계십니까?
○민원토지과장 김희자 민원과에서는 행정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거지 경계결정을 처리하는...
○이윤하 위원 제가 민원과에 여쭤본 게 아니고요. 총무국에 여쭤본 겁니다. 어떻습니까?
○총무국장 정운진 일부 경계조정과 관련해서 용이동 주민들하고 비전동 주민들하고 약간의 저기가 있었다는 것은 동장에게 들었습니다.
○이윤하 위원 분동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비전2동이 5만 2,000명이고 용이동이 2만 4,000명입니다. 그러면 비전2동도 지금 입주가 안 된 공동주택이 아직도 많이 있죠?
○총무국장 정운진 예, 있습니다.
○이윤하 위원 그러면 급격히 늘어날 것 같은데, 그러면 분동 추진을 또 하셔야 되는 문제가 앞으로 발생될 소지가 있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고요.
지금 비전1동도 굉장히 문제가 되지 않습니까? 7만 4,000명이에요.
이것도 급격히 공동주택 인구 수가 늘어나면서 북부권이나 서부권에서 급격히 인구가 유입되고 외부 인구유입도 요인도 있는 것 같은데요.
지금 서탄면이 3,687명.
서탄면의 20배가 되고 있지 않습니까? 서탄면에 공직자 수가 몇 명입니까?
○총무국장 정운진 16명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이윤하 위원 비전1동은 몇 명이나 됩니까?
○총무국장 정운진 비전1동이 23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윤하 위원 그러면 3,687명에 16명. 7만 4,000명에 23명.
행정력에 있어서 최소 인력은 필요하겠죠. 그렇다고 하더라도 비전1동에 7만 4,000명을 23명이 커버하기에는 산술적으로도 무리수가 있다는 생각을 하거든요.
그러다 보면 분동계획이 있을 것 같은데, 혹시 비전1동, 비전2동, 용이동 3개 동에 대한 행정동 분동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법정동도 마찬가지고요.
○총무국장 정운진 용이동부터 말씀드리면, 용이동 쪽에는 구룡지구가 조합아파트가 구성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향후에 인구가 좀 늘어날 것 같고요.
비전동은 저쪽에 소사 쪽에 늘어날 것 같고요.
비전1동 같은 경우는 분할을 해서, 저희 계획은 용역 중에 있는데요. 통복동이 인구가 좀 적습니다. 통복지구 하고 비전1지구 일부를 넣고, 그다음에 지제세교나 영신지구에 분리를 해서 동사무소를 아마 설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청사관리부서에서도 그런 것을 연차별 계획에 감안을 하고 있습니다.
○이윤하 위원 비전1동, 2동, 용이동 3개 합치면 15만 명 정도가 되는데, 전년도에 용이동 분동을 하는 과정 속에서 너무 불균형하게 인구수가 나눠지다 보니까 일부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도 있고, 이러한 부분이 충분히 시민들 의견수렴이라든지 의회의 의견수렴이라든지 각계각층의 의견수렴이 필요했었을 텐데, 그런 부분이 굉장히 아쉽고요.
앞으로 행정동, 법정동 이런 분동을 하는 데에 있어서 충분히 시민들, 의회 의견, 전체적인 각계각층의 의견들을 두루두루 살피셔서 시민들이 실제 행정복지센터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편리성, 접근성 이런 것들도 충분히 고려해주셔야 될 것 같고요.
그리고 공직자들의 업무 하중이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를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총무국장 정운진 충분히 고려토록 하겠습니다.
고덕면은 (지난달 +450명 → )+284명의 인구 유입이 있었습니다. 1년 가까이 최소 +500명에서 +7~800명을 꾸준히 찍어줬었던 모습이었는데요. 1단계 주요 아파트들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유입 추세가 상당히 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월에 입주를 시작하는 금호 어울림(660세대, A-11블록) 이후로는 내년 2월에 고덕하늘채시그니처(1,884세대)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으로 당분간은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힘들 것 같습니다. (하늘채 같은 경우 가끔씩 지나가면서 한 번씩 보면 대단지라 그런지 '동간 거리'가 짧아 보이던데, 입지도 나쁘지 않고 내부가 상당히 잘 나온 것 같다는 평이 많은 것 같네요)
이번 달은 송탄의 지산동이 +144명으로 세 번째로 높은 인구유입을 보여주었는데요. 평균적으로 100명 정도의 인구수가 왔다 갔다 하는 지역으로 그 수치가 크게 의미가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잘 모른다는 뜻입니다)
그 외의 지역들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습니다.

평택시는 이번 달에도 +1,524세대 / +1,788명 증가로 1인 가구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택시의 세대당 인구수는 2.232명으로 계속해서 꾸준하게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4월/ 2.2529명 → 5월/ 2.2461명 → 6월/ 2.238명 → 7월/ 2.232명 → 8월/ 2.225명)
※서울시 세대당 2.29명 / 성남시 세대당 2.334명 / 수원시 세대당 2.452명 / 화성시 세대당 2.467명
새로 유입되는 비율만 비교를 하였을 때, 고덕면/세교동/신장1동/청북읍을 정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상식적인 인구/세대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지난 평택시 인구통계(6월말)에서 간단하게 분석을 해 보았으니, 이번에는 따로 언급을 하지 않겠습니다. 만, 아마 상당한 기간 동안 평택시의 세대당 인구수는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ttps://the-clinic-real-estate.tistory.com/287 [소공의 이야기, 소공소곤]에서 수치만 일부 변경
'【부동산 이야기】 > 평택시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시, 2020년 9월말 인구통계』+1,974명 증가 / 비교분석 (0) | 2020.10.05 |
---|---|
『평택시, 올해 경기도 인구 증가율 7위??』참고자료 살펴보기 (0) | 2020.09.16 |
『평택시, 2020년 7월말 인구통계』+1,497명 증가 / 비교분석 (0) | 2020.08.03 |
『평택시, 2020년 6월말 인구통계』+1,770명 증가 / 비교분석 (0) | 2020.07.01 |
『평택시, 2020년 5월말 인구통계』+1,462명 증가 / 비교분석 (0) | 202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