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2019년말 기준 & 참고자료
- 【부동산 이야기】/오늘의 뉴스
- 2020. 3. 26.
안녕하세요, 소공소곤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씩 읽어보시면 좋을 자료 같아서 준비해 봤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수용방식으로 개발될 경우(평균 5.2년), 환지방식의 경우(평균 7.5년)보다 평균 2.3년 시행기간이 짧아진다는 객관적인 수치의 제시가 개인적으로 흥미로웠습니다. (수용방식의 경우 약 65%의 사업이 5년 이내에 마무리되었습니다)
통계자료 함께 읽어보실까요?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 발표』
전체 구역수 306개, 총 면적 109.3㎢ 도시개발사업 시행 중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20년 1~2월)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 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하였다.
「도시개발법」시행(2000. 7. 28.) 이후 현재까지 지정된 전국 도시 개발구역의 수는 524개, 총 면적은 167.5㎢로 여의도 면적(2.9㎢)의 약 58배 규모이며, 이중 218개(58.2㎢) 사업이 완료되고 306개 (109.3㎢)는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해 36개(9.4㎢) 신규 구역 지정 및 29개(8.21㎢) 사업 준공
지난해 신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개로 전년도인 2018년도와 동일한 반면, 지정 면적은 9.4㎢로 전년도(5.9㎢)에 비해 약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남양주 양정역세권 복합단지개발사업(2㎢) 등 일부 대규모 구역 지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전체적으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규모의 소형화 추세는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해 신규로 지정된 단지ㆍ시가지조성사업(공공주택지구, 산 업단지 등)의 총 지정 면적 38.2㎢ 중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비율은 24.6%(9.4㎢)로, 종전(약 40%)에 비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의 신규 지정이 크게 증가하여 전체적인 신규 지정 면적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기준자료 : 택지정보시스템(http://www.jigu.co.kr) 조회 결과
이와 함께, 지난해에는 부산 일광구역(1.2㎢), 경기 고양 식사구역 (0.99㎢) 등 29개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되어 주거, 상업, 업무용지 등 8.21㎢ 규모에 이르는 도시용지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규 사업 연간 4.8조원의 경제유발과 2.1만 명 일자리 창출 효과
연간 약 7.0㎢(최근 5년 평균)의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따른 파급 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1.7조 원의 자금(공사비) 투입으로 4.8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2.1만 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투자비용은 부지 조성비로, 토지매입비와 주택 등 건축비는 제외된 수치이며, 한국은행 산업연관표(2017년)를 참조하여 산출
신규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효과 약 3.4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4조 원 발생으로, 총 4.8 조 원에 이르는 경제유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신규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연간 일자리 창출효과로 고용유발은 1.5만 명, 취업유발은 2.1만 명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경기도 54㎢ > 경남 18㎢ > 충남 14㎢ > 경북 12㎢ 순
지역별 사업규모는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가 172개, 54㎢ 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59개, 18㎢), 충남(59개, 14㎢), 경북(46개, 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 지정 구역의 경우, 수도권에서 19개, 5.3㎢가 지정되어 전년도 2.1㎢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17개, 4.1㎢가 신규 지정되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사업시행 방식은 수용 48.4%, 환지 49.3%, 혼용 2.3% 비율
사업시행 방식은 수용 48.4%(148개), 환지 49.3%(151개), 수용과 환지방식을 혼용하여 시행하는 혼용방식이 2.3%(7개)로 나타났으며, 사업시행자별로는 민간시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68.0%(208개)로, 민간사업의 비중이 공공시행자(32.0%, 98개)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주거형 사업의 지속적인 증가로 개발유형 다양화 추세 보여
개발유형으로는 주거형 사업(73.7%)이 비주거형(26.3%)에 비해 상대적 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거·상업·산업 등 복합개발 형태의 비주거형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16년 13.0%→'19년 39.5%)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시행주체별로는, 민간사업자의 개발유형은 주거형이 87.5%를 차지하여 주거형 위주의 개발이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공공시행자는 주거형 61.3%, 비주거형 38.7%로 구성되어 민간에 비해 다양한 개발유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개발구역 지정 이후 사업 완료까지 평균 6.3년 소요
구역 지정 이후 사업완료까지는 평균 약 6.3년이 소요되었고, 3년 이하 17.9%(39개), 4~5년 33.0%(72개), 6~10년 36.7%(80개), 11~15년 11.9%(26개), 16년 이상 소요된 사업은 0.5%(1개)로 조사되었다.
사업방식별 시행기간을 보면, 수용방식은 평균 5.2년, 환지방식은 평균 7.5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용방식이 환지방식에 비하여 사업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도심으로부터 5㎞이내에 60% 이상 도시개발구역 입지
전체 524개 구역 중 60.9%(319개)가 관할 행정구역 내 기존 도심으로 부터 5㎞ 이내에 입지 하고 있고, 5㎞ 이상 ~ 10㎞ 미만이 24.0%, 10㎞ 이상 ~ 20㎞ 미만이 13.4%, 20㎞ 이상은 1.7%에 불과하여 대부분 기존 도심에 인접하여 입지가 결정되고 있으며, 도심과 개발입지 간 평균 거리는 5.1㎞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구역명, 지역·위치, 면적, 지정일, 시행자, 방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배포자료 / 20. 3. 25. (26일 석간 이후 보도)
<↓↓참고 자료↓↓>
①전국 도시개발사업 추진 현황
(이미지 흐릿함)
②2019년도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 현황
③2019년도 도시개발사업 완료 현황
④도시개발사업 유형별(주거/비주거) 현황
'【부동산 이야기】 >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 공공임대주택』영구・국민・행복주택 → 유형 통합됩니다 (0) | 2020.04.17 |
---|---|
『2020년 공공주택 입주자 모집 계획』확인하기 & 모집시작! (0) | 2020.03.30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순환고속도로』설문조사 긍정적인 반응 (0) | 2020.03.20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경과조치(유예기간) 3개월 연장 feat. 코로나19 (0) | 2020.03.18 |
『2020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19일부터 열람 & 참고자료 (0) | 2020.03.18 |